본문 바로가기

마음나무2469

산행 산을 올랐다. 겨울 산은 생각보다 바람이 많이 차다. 간만의 산행이라 나름대로 준비를 하고 산을 올랐는데 겨울 산은 그대로 춥다. 그리고 너무 쓸쓸해 보인다. 잎사귀를 떨 군체 몸을 떨고 있는 나무들이 애처롭다. 낙엽은 오솔길에 쌓여 바스락 이고 길을 걷는 내내 콧노래가 저절로 흥얼거려 진다 산 능성이 를 오르니 잠시 따뜻한 햇살이 그리워진다. 같이 간 우리 집 딩굴양은 뭐가 그리 신이 났는지 마냥 즐겁다. 하긴. 나 먹을 것은 안 챙겨도 딩굴양이 먹을 것은 챙겨가니 며칠을 집안에서만 지내다가 저 또한 간만에 스트레스도 풀고 개운 했을 것이다. 오늘은 정상을 들렸다가. 약 400m 정도를 내려가면 있는 상사 바위를 잠시 들렸다. 그곳에서 내가 조금 전에 걸어온 정상을 바라다본다. 새삼스럽게 발아래 펼쳐지.. 2009. 12. 13.
꿈(夢) '꿈'은 일반적으로 잠속에서 일어나는 생각이나 환각이라고들 한다. 어떤 사람은 꿈이 없다고 하며, 또 다른 사람은 부분적으로 각성할 때 꿈이 나타난다고 한다. 꿈의 발생은 외적 환경과 신체 내부와의 감각적 자극으로 부터 일어난다. 이 꿈은 거의 시각적인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청각적인 꿈, 미각적인 꿈도 있으며, 날아다니거나 걸어다니는 운동감각적인 꿈도 적지 않다. 꿈속에서 진실을 발견해 창작과 발명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이런 꿈이야말로 정말 누구나 꾸고 싶은 것이다. 설혹 그 꿈이 비현실적인 꿈이라 할지라도 꿈을 갖는 것은 일생을 즐겁게 해준다. 이상이나 희망은 꿈이긴 하지만 언젠가는 현실화 할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꿈은 거품처럼 사라져 버리고 마는 덧없고 싱겁고, 그리고 무상(.. 2009. 12. 12.
간절히 살고 싶을 때 죽고 싶다고 한다. 바람에 창문이 덜컥이며 금방이라도 부서질 덧 세차게 몰아친다. 먼지가 사방에서 몰려든다. 세상이 먼지 속에 잠겨 있는 듯 그렇게 바람 속에 먼지가 일렁인다. 나는 그래도 길을 가야 한다. 내가 가는 길......., 어디인지 모른다. 다만 길을 갈 뿐이다. 그 끝이 분명 죽음인지라 누구나 가야 하는 길인데 다들 가길 꺼려한다. 그리고 두려워한다. 하긴 아무도 다시 돌아 온 적이 없으니 그럴 만도 한다. 설령 돌아 왔더라도 기억하질 못한다. 죽음의 길을......., 어쩜 사람들은 최고로 살고 싶을 때 어떻게든 살고 싶다는 간절한 욕망이 일 때 무심코 죽겠다고 한다. 아이고 죽겠다......., 라고 한다. 그것은 또 다른 삶의 절규 인지도 모른다. 살고는 싶은데 정말 절망하긴 싫은데, 어쩔 수 없이 포기.. 2009. 12. 12.
메타쉐콰이어 나무 길이 운치 있는 창원 비가 질척이며 내렸다. 얼마전에 창원에서 보아두었던 메타쉐콰이어길을 담으려 창원을 다녀왔다. 잎사귀는 갈색이다 못해 차라리 붉다. 그 사이로 사람과 차들이 오간다. 2009.12. 9 9 2009. 12. 9.
canon hv20 촬영 테스트 오늘 기다리던 물건이 왔다. canon hv20 이다. 사실 캐논 카메라를 사는 이유는 색감때문이다. 일단 실내에서 별로 밝지 못한 상황에서 테스트 촬영을 해본다. 마음에 든다 hd촬영이기 때문 에 컴퓨터에 바로 캡처하고 올리고 삭제 해버린다. 앞으론 서브용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그리고 여행기를 올릴 때 여행에 동반 할 것이다. 좋은 영상을 많이 올리길 기대해보며... 2009. 12. 8.
길을 걷다가 바스락이는 소리에 놀라 발끝을 보니 곱디 고운 단풍잎이 바람에 몸 구르다가 내 발끝에 딱걸려 가던길을 멈추었다. 이렇게 자신의 마지막을 화려하게 장식할 줄 아는 나무들 보다도 인간은 왜 이리 초라할까? 한치 앞도 모르고 거저 모든것을 가지려고만 하는 인간의 아집 때문 아닐까? 나는 마지막이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 싶다. 이렇게 눈길 머물 수 있는 고운 단풍처럼.... 2009. 12월 어느날 2009. 12. 6.
잘하면 살 판, 못하면 죽을 판 (남사당) 몸짓, 발짓, 그리고 그들의 웃음까지 아름답지 않을 것이 없다. 덩실 덩실 장단에 맞추어 어깨춤이 절로 난다. 아름답다, 슬프다, 그리고 신명난다. 그런데 신명이 나는데도 왜 자꾸 가슴 한켠이 시린 것일까? "잘하면 살판이고, 못하면 죽을 판"이라는 그들만의 슬픈 과거를 알기 때문일까? 에라, 모르겠다. 인생 뭐 있어 신명나게 한판 놀고 나면 꿈인지 생시인지……. 뭐 그렇게 한 세상이지……. 2009. 12. 6.
이제 사라질 낙동강 풍경 경남 창녕군 길곡면 낙동강 변 풍경입니다...이곳에서 조금더 가면 함안보 공사가 한참입니다. 이제 이런 아름다운 풍경이 사라지겠지요....그것이 가슴 아프네요 2009. 12. 5.
몹시춥다 바람이 몹시 분다. 차가운 바람에 자꾸 옷깃을 세운다. 하지만 바람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마음한 구석에 휭 하니 생긴 구멍으로 바람은 더욱 세차게만 들어 온다. 어제까지만 해도 가을인가 했는데 어느새 한겨울속으로 들어와 있다. 그렇게 나무들은 가지를 떨구고 살려는 몸부림을 친다. 나무는 홀가분하게 벗어던지는데 사람들은 더욱 더 입기에 바쁘다. 오늘 건강검진 결과 에서 혈당수치가 경계치라고 나온다. 조심하란다. 어느새 나도 건강을 걱정해야 하는 나이가 되었구나 무엇보다도 소중한 것이 바로 건강아니겠는가. 춥다. 바람이 자꾸 가슴안에서 분다. 마음속 저 깊은곳에서 따뜻한 온기를 끌어 올려야 하는데 자꾸 위축되어 간다. 어느새 나도 2009. 12. 5.
무릉산 장춘사 2009년 12월 3일 경남 함안군 칠북에 있는 무릉산 장춘사 2009. 12. 4.
무릉산 장춘사 장춘사 가는 오솔길 찬바람 휭 하니 발끝을 톡 친다. 잎사귀는 우수수 몸을 떨어뜨린다. 고즈넉한 절 마당엔 떨어진 낙엽들만 바람과 노닥거리다가. 내 발자국 소리에 어디론가 후다닥 몸을 숨긴다. 맑고 시린 약수 돌 곽을 적시고 부처는 어디가고 처마 끝 거미줄에 낙엽 하나만 대롱이더라. 장춘사의 싸리문이 보고 싶어 무릉산을 찾은 날 날이 꽤 추웠다. 소매 사이로 파고드는 찬바람 때문에 가슴까지 시리다. 하지만 싸리문은 여전하고 작지만 정감 있는 일주문을 들어서자 마당엔 바람과 떨어진 낙엽들이 한참 장난질에 빠져 정신이 없었다. 바람이 조금 힘을 주면 하늘에서 우수수 낙엽 비가 내린다. 회색빛 산 능선에서는 차츰차츰 겨울을 몰고 장춘사 대웅전 처마 끝으로 몰려온다. 그곳에 부처도 중생도 없더라. 그저 바람과 .. 2009. 12. 4.
하늘바라기 2009년 12월 3일 창원 CECO 앞에서 2009. 12. 4.
덧 없이 가는 세월 참 세월이 덧없다. 무엇을 해야지 하다가 보면 어느새 그 세월은 지나가고 있다. 아차, 하면 이미 늦다. 그래서 나름 긴장을 하는데도 번번이 기회를 놓친다. 이번엔 나름 무언가를 해야지 했는데 어느새 2009년도 한 달 남았다. 하지만 늦었다고 생각 할 때 가 어쩜 기회가 아닐까 싶다. 생각을 바꾸어 아직 기회가 한 달이나 남았다. 라는 역 발상을 하려고 한다. 정말 그러고 보니 한 달간이나 남았다. 이젠 놓치지 말고 차근차근 생각했던 일 들을 진행하려 한다. 그러면 세월이 아무리 덧없어도 역 발상 앞에서는 안 되겠지. 자 앞으로 한 달 남은 2009년을 당신은 어떻게 보낼 것인가? 결정은 순전히 당신 몫이다……. 한탄 만 할 것인지 아님 주어진 한 달을 정말 알차게 보낼 것인지. 순전히…….자신의 의지.. 2009. 11. 30.
저녁무렵 저녁 무렵 하늘엔 어둠이 내리기 시작하고 모든 자연은 검정색으로 채색되어 간다...2009.11.28 2009. 11. 30.
나의 막가는 생각 아무 생각 없이 TV를 보다가 문득 지금 저TV를 보기 위해 내가 지불하는 비용이 얼마나 될까 생각을 해본다. 참 엄청나다. 우리 정부에서 하는 행정의 실수로 우리가 내야 하는 이중부담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선KBS에 원하던 원하지 않던 수신료를 낸다. 그리고 또다시 수신이 안 되어 지역에 있는 유선방송국에 가입을 하고 매달 얼마씩의 비용을 지불하고 이차 수신을 받아 그리고 그 화면을 볼 수 있다. 만약에 정부가 처음부터 미국식 시스템이 아닌 유럽식을 사용했다면 이런 이중비용 부담은 없었을 것이다. 나는 전문 지식이나 그런 것은 없다. 다만 미국은 자신들이 지형에 맞게 맞추어 개발되어 넓은 땅을 가진 자신들의 나라에 맞고 유럽식은 우리와 같이 산이 많아 산악지형에도 유리하게 만들어진 것으로 안다. .. 2009. 11. 29.